1단계: 토의 구성하기
문제 사안을 한 두 문장으로 간략히 제시하여 논의하고자 하는 주제를 명확히 하고 분위기를 조성합니다. 문제를 제시할 때, 비난이나 비판은 자제합니다. 만약 사전에 피드백 토의를 계획해볼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:
- 토의의 오프닝 멘트를 작성해봅니다.
- 통제적이거나 비판적인 용어들은 제거합니다.
2단계: 팀원의 관점 파악하기
문제에 대한 팀원의 생각과 감정을 물어보는 것은 팀원에 대한 존중의 표시이자, 팀원 스스로 그 사안의 주체로서 책임감을 가질 수 있게 도울 수 있습니다. 팀원의 관점을 파악하기 위해서,:
- 포괄적인 질문으로 시작합니다.
- 문제의 원인, 감정, 니즈 등에 대해 질문합니다.
- 이해한 것이 맞는 지 확인합니다.
- 들은 내용들을 되짚어 정리해봅니다.
- 팀원이 취하는 행동들에 집중합니다.
- 정보는 위협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공유합니다.
3단계: 영향력 검토하기
해당 문제가 다른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팀원이 깨달을 수 있도록 도울 때는, 팀원의 기본 심리적 욕구 3가지 모두를 지지해야 합니다. 문제가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하기 위해서:,
- 팀원이 문제의 영향을 설명할 수 있게 질문합니다.
- 비판이나 비난없이 객관적 정보만을 공유합니다.
- 통제적 언어의 사용은 피합니다.
4단계: 체계 명확히 하기
관련 정책, 절차 또는 지침을 명확히 해 줌으로써 팀원이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고 다음 단계를 제안할 수 있게 도울 수 있습니다. 체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,:
- 관련 정책, 절차, 지침 등을 확실히 전달하고 편협한 판단은 하지 않습니다.
- 팀원이 개인적 이점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합니다.
5단계: 해결책 및 다음 단계 모색하기
팀원들이 직접 개발 및 계획한 해결 방안을 수행할 때 내적으로 더 많은 동기를 부여 받습니다. 해결방안 및 다음 단계를 모색하기 위해서,
-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요청합니다.
- 합의된 해결책을 통해 팀원이 얻을 수 있는 개인적 이익에 대해 질문합니다.
- 팀원이 다음 단계를 계획하게 합니다.
- 다음 단계를 확정합니다.
- 지원하기 위한 후속조치를 계획합니다.